Whole Earth Catalog

A. M. Turing(1950),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Mind 49: 433-460 본문

[3] box

A. M. Turing(1950),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Mind 49: 433-460

퇴턍규 2016. 2. 22. 15:33

영국의 수학자 튜링(Alan Turing, 1912-1954)는 1950년에 Mind라는 학술지에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라는 제목의 논문을 실었다이 논문의 1장 모방게임(The Imitation Game)”은 다음과 같이 시작한다.

 

I propose to consider the question, “Can machines think?" This should begin with definitions of the meaning of the terms “machine” and “think.”

 

모방게임은 요즈음 TV에서 가끔 볼 수 있는 진실게임과 비슷한 것이다모방게임은 다음과 같이 한다.

 

커튼 뒤에 남자와 여자가 숨어 있다게임 참가자는 커튼 뒤에 숨어 있는 사람과 여러 가지 질문을 주고 받아 누가 여자인지를 알아내는 것이 게임의 목적이다참가자의 성별은 중요하지 않다이때 커튼 뒤의 여자는 자신이 여자인 것을 알리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남자는 자신이 여자인 것처럼 가장한다모든 질문은 키보드와 화면을 통하여 주고 받는다.

 

(…) 튜링은 기계가 생각한다는 것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모방게임에서 기계가 남자의 역할을 대신하였을 때참가자가 기계를 여자로 판정하는 경우가 많이 생기면그 기계는 생각한다고 하자.


 - 김홍종(2005), '수학으로 과학보기', 궁리.


turing.pdf




[참고] 경희대학교 이경전 교수님 포스팅


https://www.facebook.com/leekj007/posts/10206108716615809 


저는 Turing Test는 Alan Turing의 실수라고 믿고 있는 편입니다. 천재도 실수를 하니까요. 인공지능은 Imitation Game 또는 Turing Test를 목표로 하면 안된다고 봅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와 저작이 있으니 관심있는 분은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1995년에 Montreal에서 열린 IJCAI-95에서 발표된 "Turing Test Considered Harmful"이라는 논문(by Patrick Hayes & Kenneth Ford)이 대표적인 출발입니다. 제가 몬트리올에서 직접 이분들의 발표를 듣고 충격을 받았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금과옥조로 여겨왔던 Turing Test에 대한 비판이었으니까요. 모든 천재는 기존의 이론과 방법론을 뒤집고, 그 천재들의 업적은 후배들에게 다시 뒤집히게 마련입니다. 과학은 그렇게 발전해왔습니다. 어디에도 절대적 권위는 없습니다.



Patrick Hayes & Kenneth Ford.pdf